토요일은 점심시간 없이 진료합니다
051-802-7550
Tel. 051-802-7552
18~49세 백신 접종 시작...'심근염·심낭염' 부작용에 대한 전문가 설명회
Q. 고등학교 3학년 접종에서 심근염, 심낭염 신고가 6건이 있었다는데, 20대는 접종을 통한 이익과 부작용으로 인한 손해를 비교하면 어떤가요A. 정은경 질병관리청장현재까지 18~49세에서의 mRNA 백신 접종 후에 심근염 그리고 심낭염으로 피해 조사가 신청된 사례가 9건 있습니다. 현재까지 피해조사반에서 심의 평가한 결과는 1건은 불인정, 1건은 진행 중, 2건은 인정, 5건은 근거 불충분으로 분류됐습니다. 앞서 말씀 드린 것과 같이 100만명 당 3.5명으로 드물게 발생하고, 조기에 진단과 치료를 하면 되겠습니다. 따라서 안내 드린 것처럼 접종 후 심한 운동을 주의하거나, 가슴 통증, 호흡곤란 같은 의심 증상이 있을 때는 진료를 받는 등의 관리가 필요합니다. Q. 예전에 심근염·심낭염을 앓았습니다. mRNA 백신을 접종해도 되나요A. 김계훈 전남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심근염과 심낭염은 완치가 되는 병으로, 대부분 앓은 후 6개월 이내 심장기능이 정상으로 돌아옵니다. 심낭염의 경우 1~2주 지나면 완치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본인이 완치 상태라면 백신 접종을 해도 됩니다. 그러나 앓은 지 얼마 지나지 않았다면 급성기가 완전히 끝나지 않은 것이기 때문에 그런 경우를 제외하고는 크게 문제가 없다고 생각됩니다. Q. mRNA 백신 1차 접종 후 심근염·심낭염 의심 증상이 있었습니다. 2차 접종을 일정대로 받아야 할까요A. 김계훈 전남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1차 접종을 맞고 나서 의심 증상이 있었다면 2차 접종은 보류하는 것을 권합니다. 백신 접종 후 심근염·심낭염이 발생하는 기저 원인은 여러 가지로 추정되고 있지만 확실하지 않기 때문에 다시 재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